블로그 이미지
대갈장군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메모리'에 해당되는 글 3

  1. 2016.02.06 Anatomy of a Program in Memory
  2. 2011.03.11 윈도우 메모리 - 2 (malloc 함수)2
  3. 2009.05.22 메모리, Win32 vs. Win162
2016. 2. 6. 05:55 프로그래밍/C++
출처: http://duartes.org/gustavo/blog/post/anatomy-of-a-program-in-memory/

저자: Gustavo Duarte


요즘 메모리 관련 문제를 다루다 보니 점점 더 힙 속으로 빠져들고 있던 차에 좋은 글을 발견하고 내 개인 소장용으로 옮겨 볼까 한다.


일반적으로 멀티 테스킹 OS에서 각각의 프로세스는 그들 자신만의 메모리 샌드 박스에서 실행된다. 즉, 각각의 프로세스가 개별적인 주소 공간을 소유한다는 의미... 이 샌드 박스는 일반적으로 32비트 환경일 경우 Virtual Address Space라 부르고 약 4GB의 메모리 공간이 주어진다. (32비트니까~)


이 가상 메모리 주소 공간은 실질적인 (물질적인) 메모리와 이른바 Page Table이라는 놈을 통해 맵핑 되는데, 뭐, 쉽게 말해서 가상 주소는 말그대로 가상으로 주어진 공간이고 실제 메모리가 할당되려면 맵핑이 필요한데 이 주소록을 가지고 있는 녀석이 Page Table이라는 거지. 재미 있는 점은, 컴퓨터에 돌아가는 모든 프로세스는 이 룰에 따라야 한다는 말이다. 심지어 커널 자신 조차도... 쉽게 생각하면 커널은 예외일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는 점을 글쓴이는 말하고 싶었던가 보다. 아무튼, 그래서 이 가상 주소 공간은 반드시 커널을 위해 일부를 쓴다는 점이다. (아래 그림처럼)

Kernel/User Memory Split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1GB만 커널이 사용하도록 기본 셋팅이 되지만 윈도우는 2GB나 커널을 위해 할당한다. 즉, 프로세스 자신은 남은 2GB만 사용가능하다는 거네... 이런 위도우 같은 경우를 봤나... 물론 윈도우도 3GB까지 확장하는 옵션이 있단다... 휴..


뭐 이쯤에서 눈치 챘겠지만 각 프로세스가 4GB씩이나 할당하면 나의 구린 컴퓨터는 고작 16GB 램인데 프로세스 4개 돌리면 램 바닥찍고 끝나는가 라는 의문이 스멀스멀 든다면 4 곱하기 4는 16이므로 정답..


물론, 각각의 프로세스가 4GB를 무조건 쓴다는 건 아니라는 점... 시작은 미미하게 해서 끝은 창대해 질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시작할때는 최소 필요 메모리만 할당해서 최대 4GB까지 쓸수 있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보여주는 것일 뿐, 실제로 프로세스가 무조건 4GB 할당하고 출발하는 건 아니라는 점.


다만, 프로그래머가 알아야 할 것은 실수로 커널 메모리 영역을 침범하면 운영체제가 "네 이놈! 여기가 어디라고 감히 들이대느냐!!" 하면서 프로그램을 종료시켜 버린다는 거... 또 한가지 중요한 점은, 커널 코드와 데이터는 항상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고 인터럽트를 핸들링 하며 시스템 콜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반면, 사용자 주소 영역은 프로세스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변화한다는 점... (아래 그림)

Process Switch Effects on Virtual Memory

위 그림에서 사용자 주소 영역에 하늘색 표신 된 부분은 메모리가 할당되어 사용되어진 영역이고 흰색은 할당되지 않은 영역이다. 재미 있는 건, 저자가 Firefox는 메모리를 무지하게 잡아 먹는다면서 저렇게 Firefox의 메모리 할당을 크게 그렸다는 점... 크롬이 더 많이 먹는거 아닌가 몰라...

Flexible Process Address Space Layout In Linux

위 그림을 보면 대략적인 프로세스의 주소공간을 (4GB)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게 제대로 잘 작동했을 경우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위의 그림과 같은 구조의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시작하게 된다. 사실 이점에 대해서 저자는 보안 취약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해커가 이런 메모리 구조를 미리 파악하고 대충 찍어서 맞추는 경우 보안상의 헛점이 드러날 수 있다는 점. 그래서 요즘은 메모리를 랜덤하게 유행한단다... 이 글이 써진 시점이 무려 2009년이니... 허허


위 그림에서 사용자 공간의 최상층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로 Stack인데 이 녀석은 지역 변수를 저장하고 함수의 인자들을 저장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함수를 호출하게 되면 스택영역에 Stack Frame이라는 놈을 넣게 되는데 이 함수가 리턴 될 때 이 Stack Frame도 파괴된다. 스택 자체가 LIFO 방식으로 단순하게 동작하므로 pushing과 popping이 매우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그리고 스택 영역을 자주 그리고 많이 사용하면 결국 CPU 캐시에 스택 메모리가 활성화 되어 있게 되므로 스피드를 더더욱 업업업~ 각각의 스레드는 자신만의 스택을 가진다.


만약 사용자가 스택 영역에 할당된 현재의 영역보다 더 큰 데이터를 집어 넣게 되면? 이렇게 되면 (리눅스의 경우) expand_stack()이라는 함수 (결국, acct_stack_growth() 함수 호출하는 녀석)를 호출해서 스택 영역의 확장이 가능한가 체크한다. 만약 스택 영억이 기본 최대 사이즈 (8MB)보다 작다면 스택 영역이 확장된다. 근데, 만약 이 8MB를 다 써버리면? 그때 바로 터지는 것이 Stack Overflow이고 프로그램은 Segmentation Fault를 받으면서 장렬히 전사한다. 또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스택 영역은 한번 확장되면 스택이 줄어든다고 해서 확장된 영역을 줄이진 않는다. 이것이 마치 미국의 연방 정부의  예산과 같다고... 늘리기만 하고 줄이진 않는다는 이야기.. ㅋㅋ


자, 그 다음은 스택 아래에 위치한 Memory Mapping Segment라는 놈인데 이 놈은 파일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메모리로 맵핑해준다. 이런 일을 해주는 대표적인 함수로는 mmap(), CreateFilemapping(), MapViewOfFile() 같은 함수들이다. 이러한 Memory Mapping은 고성능 파일 입출력이나 Dynamic library들을 로딩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진다. 그리고 이른바 Anonymous Memory Mapping도 가능한데 이건 임의 메모리 맵핑이라 해야 하겠네.. 파일이나 라이브러리 같은걸 맵핑 하는게 아니라 malloc() 같은 함수가 제법 큰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려고 할때 종종 이 구역의 메모리를 임의 메모리 맵핑이라는 형태로 사용하도록 해준다는 군. 메모리를 좀더 효율적이고 많이 사용하기 위해 그런듯...


그다음은 바로 힙! 엉덩이 아니지요.. Heap! 사실 프로그램 돌리다 보면 터지는 메모리 에러의 90% 이상이 힙에서 터진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이 힙 영역은 프로그램이 런타임 (실행중) 중에 메모리를 임의의 크기로 할당할때 사용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동적 메모리 할당 때문에 힙 메모리 사용은 커널과 언어의 런타임이 서로 협상해서 만들어 진다. 대표적인 힙 할당 함수로 C에서는 malloc이 있고 C#이나 C++의 경우에는 new가 있다. 


만약 메모리 공간이 여유가 있다면 언어의 런타임에서 알아서 처리하고 끝낸다. 만약 현재의 할당된 힙으로 공간이 부족하다면 시스템 콜 (brk())을 통해 확장되는데 이것이 바로 커널의 개입이다. 사실 힙의 관리는 정말 복잡한데 머리 좋고 똑똑한 사람들이 최선을 다해 알아서 잘 관리하도록 만들어 놨다고... 뭐, 아무튼...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일 아래 영역이 보이는데 BSS, data 그리고 program text다. BSS와 data store의 경우 static global variable들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BSS는 할당되지 않은 (uninitialized) static variable들을 저장하고 data segment의 경우에는 initialized된 static variable들을 저장한다. 


뭐 몇가지 설명이 더 있기는 한데 그렇게 필요해 보이진 않아서 스킵~ 




posted by 대갈장군
2011. 3. 11. 03:20 프로그래밍/Windows API
앞서 언급했던 윈도우 메모리에 관한 이야기 2탄으로 바로 malloc() 함수에 대한 이야기다.

malloc은 뭐 워낙 유명한 함수라서 굳이 이야기 안해도 사용하는 방법쯤은 다 알거라 생각한다. 바로 코드로 들어가 보자.

   
   1:  #include <stdio.h>
   2:  #include <stdlib.h>
   3:  #include <string.h>
   4:   
   5:  #ifdef _DEBUG
   6:  #include <vld.h>
   7:  #include <vldapi.h>
   8:  #endif
   9:   
  10:  void main()
  11:  {
  12:      // Test int
  13:      int *ptr;
  14:      ptr = (int*)malloc(sizeof(int)*10);
  15:   
  16:      for(int i = 0; i < 10; i++)
  17:      {
  18:          ptr[i] = i * 10;
  19:          printf("ptr[%d] = %d\n", i, ptr[i]);
  20:      }
  21:   
  22:      free(ptr);
  23:   
  24:      // Test char
  25:      char *ptr_char;
  26:      ptr_char = (char *)malloc(sizeof(char)*20);
  27:   
  28:      char *str1 = "MEMORY LEAK";
  29:      strcpy(ptr_char, str1);
  30:   
  31:      printf("ptr_char = %s\n", ptr_char);
  32:   
  33:      free(ptr_char);
  34:   
  35:      // Test array of pointers
  36:      int **double_ptr;
  37:   
  38:      double_ptr = (int **)malloc(sizeof(int *)*10);
  39:   
  40:      for(int i = 0; i < 10; i++)
  41:      {
  42:          double_ptr[i] = (int *)malloc(sizeof(int)*10);
  43:          for(int j = 0; j < 10; j++)
  44:          {
  45:              double_ptr[i][j] = (i * 10) + j;
  46:              printf("double_ptr[%d][%d] = %d\n", i, j, double_ptr[i][j]);
  47:          }
  48:      }
  49:   
  50:      for(int i = 0; i < 10; i++)
  51:      {
  52:          free(double_ptr[i]);
  53:      }
  54:   
  55:      free(double_ptr);
  56:   
  57:  }

위의 코드의 제일 윗부분에 라인 6번과 7번을 보면 vld.h 라는 녀석이 있는데 이 녀석은 이른바 visual leak detector라고 불리는 오픈 소스로서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면 콘솔 출력창에 어디서 뭐가 왜 어떻게 유출되었는지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아주 착한 놈이다.

이 오픈 소스는 http://www.codeproject.com/KB/applications/visualleakdetector.aspx 에 가면 다운 받을 수 있다.

코드는 세 파트로 나뉘어져 있는데 첫번째 파트에서는 간단하게 10개의 int 메모리를 할당하고 0 에서 9까지 넣어 출력했고 두번째 파트는 char 메모리 공간을 생성하여 MEMORY LEAK라는 섬뜩한 문구를 출력해 봤고 마지막은 이중 포인터를 이용해서 2차원 int 배열을 생성하여 0부터 99까지 각 배열에 대입 후 출력해 봤다.

암튼, 22번 라인, 33번 라인 그리고 50번에서 55번까지 free()로 할당된 메모리를 해제하는 명령들이 나와있는데 메모리는 할당보다 해제가 더 중요하다. 화장은 하는 것보다 지우는 것이 더 중요한 것 처럼... 

예를 들어 두번째 테스트는 Test char 파트에서 free()를 호출 안하면 (라인 33번 지우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프로그램 종료 후 출력창에 뜬다.


너무나도 친절하게 얼마만큼의 메모리가 누수되었는지 그리고 들어있던 내용은 무엇인지 그리고 게다가 코드의 어느 부분에서 누수가 있었는지 알려준다... 너무 친절해서 눈물이 날 지경이다..

라인 33번에서 55번까지는 이중 포인터의 개념인데 integer 값을 10개 저장하는 배열을 10개 만들었다. 즉, 10 x 10 = 100 개의 int 배열을 만든 셈이다. 중요한 것은 해제인데 해제 할때는 10개의 개별 배열을 모두 하나씩 해제한 후 마지막에 이중 포인터를 해제 한다. 만약 개별 배열들을 해제하지 않고 이중 포인터만 해제해 버리면 10개의 개별 배열은 부모 잃어버린 자식들이 되므로 메모리 누수가 일어난다. 

개별 배열(자식)을 해제 하기 전에 이중 포인터 (부모)를 날려 버리면 자식들을 찾을 수가 없다. 왜냐면 부모 연락처가 없기 때문에... 

malloc을 이용한 할당은 가장 경제적인 메모리 할당이다. 왜냐면 바이트 단위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할당하기 때문이다. 좀 있다 살펴볼 다른 메모리 할당 함수는 malloc 처럼 바이트 단위로 할당을 하지 않는다. 경제적인 것은 그만큼 손이 많이 간다. 고로 해제하는 과정을 사용자가 반드시 꼼꼼히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posted by 대갈장군
2009. 5. 22. 03:08 프로그래밍/Windows API
프로그램을 짜려면 메모리가 참 중요한데... 차근 차근 책을 보며 다시 한번 정리해 보았다.

Win32 는 32비트로 메모리 주소공간을 표현한다는 의미로 Windows 95 부터 사용된 것으로 알고 있다. Win16은 Windows 95가 나오기 전에 사용된 것으로 주소공간을 표현하는 비트의 수가 최대 16 비트로 최대 표현 가능한 주소공간이 2의 16승 밖에 되지 않는다. 2의 16승은 64K 군. 

고로 상위 컴퓨터들이 등장하면서 확장된 메모리 공간 표현을 위해서는 Offset을 추가하는등 복잡한 계산법이 필요했단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Win32로의 확장이 이루어 진것인데, 엄밀히 말해서 Win16의 문제점은 두가지였다.

1. 증가하는 메모리 용량을 16비트의 레지스터 공간으로는 쉽게 표현이 불가능했다. 
2. 모든 프로그램이 같은 주소 공간에 존재하였으므로 포인터만 가지고 있으면 수퍼맨 처럼 어디든 액세스 가능.

바로 2번은 심각한 안정성 문제를 초래한다. Win16은 주소 공간과 실제 물리적 메모리가 서로 1대 1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A라는 응용 프로그램의 포인터 값은 실제 물리적 메모리의 주소이며 이는 B라는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마찬가지로 접근 가능한 고유한 값이었다.

하지만 이 개념이 Win32에 들어오면서 확 바뀌는데... 어떻게 바뀌냐면...

1. 가상 메모리의 등장. 가상 메모리 = 물리적 RAM + 페이징 파일 
2. 독립적인 4G 바이트의 가상 주소 공간이 각 응용 프로그램에 할당. 
3. 각각의 4G 바이트 공간은 페이지 테이블을 통해 가상 메모리에 연결. 

일단 가상 메모리가 등장하는데 이놈은 실제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RAM 공간 + 페이징 파일이다. 페이징 파일은 물리적인 하드 디스크 공간을 메모리로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일반적인 RAM보다 속도가 떨어질다는 것 외에는 RAM과 같은 놈이다.

그리고 각 응용 프로그램 당 4G 바이트라는 어마어마한 가상 주소 공간이 할당 되는데 이 가상 주소 공간은 실제로 할당된 메모리가 아니라 최대 저만큼 쓸수 있다는 말이다. 응용 프로그램이 실제로 무엇을 할당하거나 운영 체제의 모듈을 불러들일 경우 중간자 역활을 하는 페이지 테이블을 통해서 가상 메모리에 메모리 공간을 실제적으로 할당한다.

고로 각 응용 프로그램은 각자가 독립적인 4G 바이트의 주소 공간을 가지므로 서로가 서로에게 간섭을 할수가 없다. 즉, 안정성이 확보된것이다.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 체제가 메모리를 관리 (페이지 테이블에 의한) 하여 줌으로써 그 댓가로 안정성을 획득한 셈이다. 이런 구조의 한가지 단점이라면 프로세스간에 (응용 프로그램 간에) 데이터 교환이 용이 하지 않다는 점이다.

왜냐면 서로가 가지고 있는 주소 공간의 독립적이므로 A라는 응용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주소 값은 B에서는 엉뚱한 값을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IPC 혹은 메모리 맵 파일을 사용해야 한다.


posted by 대갈장군
prev 1 next